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2022유아임용준비
- 유치원임용고시
- 유치원임용기출
- 유아임용공부계획
- 육아맘공부법
- 유아임용
- 2022유치원임용준비
- 양지인
- 유아언어교육
- 일병행임고생
- 매일공부계획
- 육아맘임고생
- 유아임용준비
- 현리맛집
- 2019개정누리과정
- 가평맛집
- 가평현리맛집
- 임용고시자료
- 류민영교수님
- 가평현리
- 2022유치원임용
- 2022유아임용
- 유치원교육과정
- 유치원임용준비
- 가평가볼만한곳
- 누리과정해설서
- 공스타그램
- 유아임용기출정리
- 일병행공부법
- 유아임용기출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측정도구의양호도 (2)
학문/유아교육 일상/세남매집
1일1정리_측정도구의 양호도
(2021기출 B4-02) 응용) 유아의 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만든 지능검사가 유아의 머리둘레를 줄자로 재거나 사회성을 재는 형태로 만들어 졌다. 위 문장이 왜 (타당도)에 맞지 않는지 이유를 작성해 보세요. 지능은 "유아 자신이 지금 알고 있는 것"에 가까운 개념이다. 그런데 신체의 발달을 알아보는 것으로 머리둘레를 재거나 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사회성을 알아보는 것은 지능과 관계성이 부족하다. 본래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측정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타당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모범답안] 1. 머리둘레를 측정하는 것이 목표하고 있는 유아의 지능을 반영해주지 않기 때문에 타당성이 낮다고 본다. 2. 머리둘레를 줄자로 재는 것이, 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의도한 것을 진실되게 측정*반영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
양T의 (공립)유아교사되기
2021. 3. 13. 1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