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일병행임고생
- 일병행공부법
- 가평맛집
- 유아언어교육
- 유아임용기출
- 공스타그램
- 임용고시자료
- 매일공부계획
- 가평현리맛집
- 현리맛집
- 유아임용기출정리
- 유아임용
- 유치원임용준비
- 육아맘임고생
- 육아맘공부법
- 유치원임용기출
- 유치원임용고시
- 2022유아임용
- 가평가볼만한곳
- 2022유치원임용
- 양지인
- 2019개정누리과정
- 2022유치원임용준비
- 유치원교육과정
- 가평현리
- 누리과정해설서
- 유아임용공부계획
- 유아임용준비
- 2022유아임용준비
- 류민영교수님
- Today
- Total
목록유치원임용준비 (6)
학문/유아교육 일상/세남매집

먼저 살로베이와 메이어가 정서지능을 어떻게 나누었는지 알고 있어야 한다. 살로베이와 메이어는 크게 정서지능을 정서인식과 표현, 정서의 조절, 정서의 활용으로 나누었는데, 정서의 인식과 표현은 자기정서를 언어적으로 표현하거나, 비언어적으로 표현하는 것 타인의 정서를 비언어적으로 지각하거나 감정이입을 하는 것으로. 정서조절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것과,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는 것으로. 정서의 활용은 융통성 있는 계획을 세우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거나, 주의집중을 재조정 또는 전환하거나 동기화 하는 것으로 나뉘어 볼 수 있다. 문제의 ㄱ과 ㄴ을 살펴보면 ㄱ은 재윤이 본인의 (화를 참으며) ㄴ은 혜민이가 (재윤이를 위로하기 위해 안아주며) 서로 자신의 감정조절과, 타인의 감정을 공감하는 것으로서 대비되는 예..

우선 유아기 초기 문법의 발달 특징 중 ㄴ과 ㄷ이 공통적이로 보이는 특징은 조사를 과잉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지난 기출들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벚꽃이가 있어요. 곰가 달려간다와 같이 동생이가 먹으라고 해는 조사 '가'를 확대적용하여 쓰고 있다. 소정이도 엄마하고 싶다요 또한 마찬가지로 '요'를 덧붙여 쓰고 있는데, 이처럼 유아가 성인과 비슷한 문법을 사용할 때, 문법 규칙을 확대 적용하는 것을 [과잉일반화]라고 한다. 다음 C 구간을 살펴보자. 소정이는 혼자놀이를 하며, 혼잣말을 하고 있다. 혼잣말은 피아제와 비고츠키가 서로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는 대표적인 것 중의 하나인데, 혼잣말은 아동의 문제해결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데, 사용빈도는 과제수행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증가한다. 혼잣말은 과제의 난이..

우선 굿맨과 굿맨을 모른다 할 지라도 언어학습방법에는 1. 발음중심 언어학습방법 2. 언어경험 언어학습방법 3. 총체적 언어학습방법 4. 균형적 언어학습방법 이 있는데, (다)를 살펴보면 교사는 처음에 제목을 읽어보게 하고 (읽기) 미리와 은호는 그림과 글자를 보며 말하기를 하고 (말하기) 다시 교사는 동화책을 읽어주어 유아들이 듣게 하고 (듣기) 동화가 끝난 후 다음이야기 지어보기를 통해 쓰게 했다. (쓰기) 그러므로 "언어학습방법"측면에서 보자면 (다)는 "총체적 언어학습방법"이 되겠다. 실제로 굿맨과 굿맨을 몰랐어도, 제시하고 있는 것이 발음중심인지, 언어경험인지, 균형적인지, 총체적인지 구분을 했다면 충분히 유추 가능했을 것이다. (결국 나의 이해가 부족했다는 이야기..ㅠ) 굿맨과 굿맨(K. Do..

p.37 요약 _ 소리는 물체나 성대의 자극이 공간의 울림을 통해 귀로 전달되는 것이다. _ 유아음악교육을 위한 환경을 준비하기 위해 소리의 질에 관심을 기울이자. _ 악기를 연주하거나 만들 때 소리의 공명이 만들어지는 적절한 공간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Kim. 2013) : 모든 악기는 각각의 진동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재질이나 형태를 고려하여 만들어지는데, 악기를 다룰 때 그에 맞는 진동이 발생하여 최상의 아름다운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쥐거나 연주해야 한다. 소리진동은 유아음악교육에 있어서 "박"의 개념과 연관성을 가진다. "박"을 익히기에 가장 좋고, 음악교육의 기초로 가져 가는 것이 바로 "리듬악기" 이다. ■ 바람직한 리듬악기와 선율악기 연주를 위한 유아음악교수방법 _ 리듬악기는 ..

■ 공통과정으로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제정 유아교육*보육에 대한 국가 책임이 강화됨에 따라 국가는 누리과정 적용 대상을 5세에서 3~4세 유아까지 확대하였다. 2012년 7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3~5세 유아를 위한 교육* 보육을 통합한 '공통과정'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이 고시되어, 2013년 3월부터 시행되었다. 이후 2015년 3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은 운영시간을 3-5시간에서 4-5시간으로 조정하여 개정*고시되었다. ■ 교육과정으로서 [2019 개정 누리과정] 개정 교육부는 국정과제 구현과 출발선 평등 실현을 위해 2017냔 12월 '유아교육 혁신방안'을 발표하였다. '유아교육 혁신방안'의 주요 내용으로 '유아가 중심이 되는 놀이 위주의 교육과정 개편'이 명시되..

[본문] 이 후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5세 유아의 학비*보육료 지원을 전 계층으로 확대하고, 지원단가를 연차적으로 현실화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여 관련법령을 정비하였다.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는 2011년 9월 [5세 누리과정]을 '공통과정'으로 제정하여 고시하고 2012년 3월부터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5세 모든 유아에게 공통으로 시행하였다. 유아교육법[시행 2021.9.9] 제2조(정의) 1. "유아"란 만 3세부터 초등학교 취학전까지의 어린이를 말한다. 2. "유치원"이란 유아의 교육을 위하여 이 법에 따라 설립*운영하는 학교를 말한다. 3. "보호자"란 친권과*후견인 그 밖의 자로서 유아를 사실상 보호하는 자를 말한다. 4. 삭제 5. 삭제 6. "방과후 과정"이란 제13조제1항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