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류민영교수님
- 유아임용공부계획
- 유아임용기출정리
- 일병행임고생
- 2022유치원임용
- 유치원임용준비
- 양지인
- 가평현리
- 2022유아임용준비
- 임용고시자료
- 누리과정해설서
- 육아맘공부법
- 유아임용기출
- 유치원교육과정
- 가평현리맛집
- 가평맛집
- 현리맛집
- 가평가볼만한곳
- 유아임용
- 유치원임용고시
- 유아언어교육
- 2022유치원임용준비
- 일병행공부법
- 유아임용준비
- 매일공부계획
- 육아맘임고생
- 공스타그램
- 2019개정누리과정
- 유치원임용기출
- 2022유아임용
- Today
- Total
목록유아임용기출 (14)
학문/유아교육 일상/세남매집
먼저 살로베이와 메이어가 정서지능을 어떻게 나누었는지 알고 있어야 한다. 살로베이와 메이어는 크게 정서지능을 정서인식과 표현, 정서의 조절, 정서의 활용으로 나누었는데, 정서의 인식과 표현은 자기정서를 언어적으로 표현하거나, 비언어적으로 표현하는 것 타인의 정서를 비언어적으로 지각하거나 감정이입을 하는 것으로. 정서조절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것과,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는 것으로. 정서의 활용은 융통성 있는 계획을 세우거나, 창의적인 사고를 하거나, 주의집중을 재조정 또는 전환하거나 동기화 하는 것으로 나뉘어 볼 수 있다. 문제의 ㄱ과 ㄴ을 살펴보면 ㄱ은 재윤이 본인의 (화를 참으며) ㄴ은 혜민이가 (재윤이를 위로하기 위해 안아주며) 서로 자신의 감정조절과, 타인의 감정을 공감하는 것으로서 대비되는 예..
a는 "주어진 상황에서 어떤 사건이" "사실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사실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가령 테이블 위의 쿠키가 사라진 사건이 테이블 옆에 서 있는 나경이가 먹은 것이 아님에도 나경이가 먹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것은 믿음이 틀린 상황인 "틀린믿음"에 대한 설명이며 예시가 되겠다. 틀린믿음을 "이해" 한다는 것은 "타인의 생각이나 바람, 감정 등을 추론하고" "이런 추론에 따라 타인의 행동을 예측하고 이해하는 능력"인데, 더 쉽게 예를 들어보면 한경이가 테이블 위의 쿠키를 나경이가 먹은 것이 아님에도 나경이가 먹었다고 생각하는 것을 휘경이가 한경이가 나경이에게 화를 낼 것임을 예측하고 이해하여, 한경이와 나경이를 중재 해 줄 수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며. 이 예시 안에서 휘경이는 "마음이론"을..
A와 B를 보기 전에 이 문제는 "가치분석 과정"을 묻는 것이다. 우선 가치분석이란 토의 활동을 통해 하나의 가치를 선택하는 이유를 준거를 들어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인데, 갈등 요소가 담긴 문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대안과 결과 예측을 논리적으로 분석함으로서 가치관 형성을 지원하는 것이다. 한 개인이 가치관을 명백히 한다는 점에서 "가치 명료화"와 비슷하지만, 선택한 가치에 대하여 논리적인 절차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가치분석의 과정은 총 6단계로 정리 되는데, 1단계 : 가치 확인하기 2단계 : 가치를 비교하고 대조하기 3단계 : 감정을 탐색하기 4단계 : 가치판단을 분석하기 5단계 : 가치 갈등을 분석하기 6단계 자신의 가치 검증하기 그럼 어떠한 가치 분석 과정에 있는지 A를 살펴보자...
이 문제는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이론의 체계의 명칭과 개념을 알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이다. 생태학적 환경 체계 모델은 유아를 둘러 싸고 있는 직접적인 환경으로부터 문화적 환경에 이르기까지 인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체계의 범위를 설명한다. 미시체계는 아동의 직접적인 환경 내에서의 활동과 상호작용이며, 유아에게 1차적으로 영향을 주는 관계이며, 미시체계 내의 모든 관계는 양방향적이고 상호적이다. 중간체계는 유치원, 이웃, 동네 등 유아에게 2차적이고 간접적인 환경으로서 '미시체계 간'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외체계는 아동이 포함되지는 않지만, 아동의 경험에 영행을 주는 사회적 환경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미디어, 부모의 사회망, 비공식적인 가족간 적극적 교류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아동 발달에 직접적인 역..
우선 유아기 초기 문법의 발달 특징 중 ㄴ과 ㄷ이 공통적이로 보이는 특징은 조사를 과잉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지난 기출들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벚꽃이가 있어요. 곰가 달려간다와 같이 동생이가 먹으라고 해는 조사 '가'를 확대적용하여 쓰고 있다. 소정이도 엄마하고 싶다요 또한 마찬가지로 '요'를 덧붙여 쓰고 있는데, 이처럼 유아가 성인과 비슷한 문법을 사용할 때, 문법 규칙을 확대 적용하는 것을 [과잉일반화]라고 한다. 다음 C 구간을 살펴보자. 소정이는 혼자놀이를 하며, 혼잣말을 하고 있다. 혼잣말은 피아제와 비고츠키가 서로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는 대표적인 것 중의 하나인데, 혼잣말은 아동의 문제해결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데, 사용빈도는 과제수행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증가한다. 혼잣말은 과제의 난이..
우선 유치원임용고시를 생각하고 계신다면 달달달 외워야 하는 2019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고시문의 [의사소통영역]을 확인해 보자. 문제에서 물어보고 있는 "바른 태도로 듣고 말한다"는 내용은 "듣기와 말하기" 내용 범주 안에 속해 있다. "듣기와 말하기"는 유아가 다른 사람의 말이나 이야기를 관심 있게 듣고, 자신의 경험, 느낌, 생각을 상황에 적절한 단어를 사용하여 말하고, 고운 말을 사용하는 내용이다. 문제로 제시 된 "바른 태도로 듣고 말한다"는 유아가 말하는 사람에게 주의를 기울이며 듣는 내용이다. 말을 끝까지 듣고, 자신의 의견을 말하는 내용이다. 이제 문제되는 상황인 [B]를 보면 태준이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해설서에 제시된 유아 경험의 실제 에서도 나왔던 부분이다. 2019 개정 누리과..
행동주의 이론은 기본적으로 언어습득은 후천적인 것이며, 이는 경험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라고 본다. 즉, 말하고, 듣고, 이해하는 일련의 과정들은 환경 내 자극의 통제 하에서 이루어지는 모방, 강화, 수행의 "형성과정(Shaping)"을 통해 이루어 진다고 본다. 행동주의 이론의 대표적인 학자로 B. Skinner와 Watson이 있다. Watson의 경우 "단어형성이론"을 주창하였는데, 각 단어들은 환경 내에서 주어진 대상과 사건들에 연관될 때 보다 쉽게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즉, 기차를 직접 보았을 때, 기차라는 단어를 보다 쉽게 배우게 된다. Skinner의 경우 "조작적 조건화", "강화의 원리"를 이야기 하였는데, 언어 역시 다른 행동과 마찬가지로 조작적 조건형성에 의해 학습된다고 보는 견해..
ㄱ은 교사가 유아들에게 "아기 토끼가 어디에 숨었다고 했지?" 라고 물어 보고 있고, 답은 이미 교사가 읽어 준 동시 안에 있었다. 즉. 문제에 쓰여진 바와 같이. ㄱ은 "유아의 사실 이해 및 기억 회상을 의도한 발문이다. 그렇다면 ㄷ은 이와 반대 되는 의도를 가진 발문일테고, ㄷ에서 교사가 말한 "땅 속에 어떤 보물이 숨겨져 있었을까?"는 어떤 의도인지 (나)에서 발문 이전의 활동을 살펴보면 땅 속 보물을 찾으러 땅 속 동물들이 사는 집을 방문 했는데, 쭉쭉쭉쭉 갔다가, 뱀을 보고 놀란 아이가 다시 지나 갔던 길을 되집어 돌아온다. 그리고는 잠이 든다. 결국 땅 속에 보물이 무엇인지는 찾지 못했다. 그런 상황에서 교사는 유아들에게 "땅 속에 어떤 보물이 숨겨져 있었을까?" 라고 유아들이 상상을 해야만 ..
우선 '2019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의사소통' 영역의 내용범주인 [읽기와 쓰기에 관심 가지기] 내용은 다음과 같다. 말과 글의 관계에 관심을 가진다. 주변의 상징, 글자 등의 읽기에 관심을 가진다. 자신의 생각을 글자와 비슷한 형태로 표현한다. 위의 내용을 다시 정리 해 보면 말과 글의 관계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유아가 일상에서 말이 글로, 글이 말로 옮겨지는 것에 관심을 갖는 내용이다. 주변의 상징, 글자 등의 읽기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유아가 일상에서 자주 보는 상징(표지판, 그림문자 등)이나 글자 읽기에 관심을 가지는 내용이다. 유아가 상징이나 글자에는 사람들의 생각과 강점, 정보가 담겨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내용이다. 자신의 생각을 글자와 비슷한 형태로 표현하는 것은 유아가 자신의 생각이나 ..
우선 문제의 "언어 단위"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알고 넘어가는 것이 좋겠다. 언어단위는 언어 구조의 기본단위로서 문법적 단위와 음운적 단위 등이 있다. 먼저 (가)에서 강조하고 있는 언어단위는 무엇인지 힌트가 되는 부분을 보면 교사는 ㅂ에 집중하며 단어찾기를 하고 있다. 유아들 또한 ㅂ에 집중하여 단어를 찾고 있다. 위의 내용을 참고하여 보았을 때 '음소' 인식을 위한 활동이며, 이것은 언어 단위의 종류 중 "음운적 단위" 인식을 위한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안나영'이라는 이름을 '안','나','영' 이라는 '음절'로 쪼갰다. '음절'은 분명히 "음운적 단위"에 속한다. 하지만 교사는 '음절'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음절'을 통하여 의미있는 '낱말이나 그림'을 연결하고 있다. 유아에게도 '안', '..
1. ㄱ애 해당하는 서류 1가지를 쓰고, 2. ㄴ에 해당하는 응급 처치 방법 중 유치원에서 교사가 처치할 수 있는 방법 2가지를 쓰시오 선우 귀에 작은 벌레가 들어간 것 같아요. 부모님과 다른 보호자 모두 전화를 안 받으시네요. 걱정하지 마세요. ㄱ 이런 상황에 대비해서 학기 초에 받아 놓은 서류가 있쟎아요. 그럼 바로 ㄴ 응급 처치 할께요. >> 응급처치동의서 _[참고] 응급처치동의서의 내용. 학교에서의 응급 상황 시 응급 처치에 대한 신속한 체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응급 처리(절차)에 대한 권한을 학교(유치원)에 위힘할 것에 동의합니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모든 응급처치는 학부모의 동의하에 이루어지는 것임을 동의하며, 또한 응급 상황 시 학부모에게 연락이 안 될 경우 학생을 인근 병*의원 또는 학생이..
ㄱ과 ㄴ에 들어갈 말을 각각 쓰시오. 그러한 점은 루소(J. Rousseau)의 사상과 관련 있는 것 같아요. 자연적 혹은 자연주의 교육 방법으로 언급되는 ( ㄱ )은/는 지식을 외부에서 유아에게 강제적으로 주입해 주는 것보다 유아의 자유로운 활동을 존중하여 자연스러운 발달을 돕는 것을 의미해요. 유아가 자유롭게 놀이하면서 배우려면 직접 경험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것을 루소의 사상에 비추어보면, 인간의 정신세계로 들어오는 모든 것은 ( ㄴ )을/를 통하기 때문에 유아기에는 실물을 보고 만지고 느끼면서 외부 세계를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죠. >>앞 뒤 맥락을 보자. >> ㄱ : 교육방법으로 언급되는 : 소극적 교육 >> ㄴ : 실물을 보고 만지고 느끼면서 외부세계를 경험 : 감각 _[암기] 루소 ㄷ에 해당하..
Thank you for visiting my blog. I am Rosaria, a sunny person(양지인). Now I am studying by raising children for a better kindergarten teacher. The 2019 revision of Nuri curriculum is a kindergarten curriculum in Republic of Korea(ROK) Kindergarten teachers in South Korea study the revised Nuri program. I study steadily every day to become a competent teacher who can help infants develop their whole..
Thank you for visiting my blog. I am Rosaria, a sunny person(양지인). Now I am studying by raising children for a better kindergarten teacher. The 2019 revision of Nuri curriculum is a kindergarten curriculum in Republic of Korea(ROK) Kindergarten teachers in South Korea study the revised Nuri program. I study steadily every day to become a competent teacher who can help infants develop their wh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