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일병행공부법
- 일병행임고생
- 육아맘임고생
- 임용고시자료
- 가평가볼만한곳
- 가평현리
- 유아언어교육
- 2022유치원임용
- 유아임용기출정리
- 가평맛집
- 가평현리맛집
- 유치원교육과정
- 2022유치원임용준비
- 유아임용
- 유아임용준비
- 유치원임용준비
- 현리맛집
- 2022유아임용
- 매일공부계획
- 공스타그램
- 유치원임용고시
- 양지인
- 2022유아임용준비
- 류민영교수님
- 유아임용공부계획
- 유아임용기출
- 유치원임용기출
- 누리과정해설서
- 육아맘공부법
- 2019개정누리과정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유아의 마음이론형성 (1)
학문/유아교육 일상/세남매집
[유아임용준비]2021유치원교육과정B2 기출문제정리
a는 "주어진 상황에서 어떤 사건이" "사실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사실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가령 테이블 위의 쿠키가 사라진 사건이 테이블 옆에 서 있는 나경이가 먹은 것이 아님에도 나경이가 먹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것은 믿음이 틀린 상황인 "틀린믿음"에 대한 설명이며 예시가 되겠다. 틀린믿음을 "이해" 한다는 것은 "타인의 생각이나 바람, 감정 등을 추론하고" "이런 추론에 따라 타인의 행동을 예측하고 이해하는 능력"인데, 더 쉽게 예를 들어보면 한경이가 테이블 위의 쿠키를 나경이가 먹은 것이 아님에도 나경이가 먹었다고 생각하는 것을 휘경이가 한경이가 나경이에게 화를 낼 것임을 예측하고 이해하여, 한경이와 나경이를 중재 해 줄 수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며. 이 예시 안에서 휘경이는 "마음이론"을..
양T의 (공립)유아교사되기
2022. 6. 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