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유아임용기출정리
- 2022유치원임용
- 임용고시자료
- 유치원임용기출
- 매일공부계획
- 유치원교육과정
- 유아임용공부계획
- 가평맛집
- 유치원임용준비
- 일병행공부법
- 류민영교수님
- 육아맘공부법
- 2022유아임용준비
- 유아언어교육
- 유치원임용고시
- 누리과정해설서
- 가평가볼만한곳
- 유아임용
- 2022유아임용
- 가평현리
- 2019개정누리과정
- 2022유치원임용준비
- 양지인
- 유아임용기출
- 육아맘임고생
- 일병행임고생
- 가평현리맛집
- 공스타그램
- 유아임용준비
- 현리맛집
- Today
- Total
목록유치원임용정리 (2)
학문/유아교육 일상/세남매집
ㄱ은 교사가 유아들에게 "아기 토끼가 어디에 숨었다고 했지?" 라고 물어 보고 있고, 답은 이미 교사가 읽어 준 동시 안에 있었다. 즉. 문제에 쓰여진 바와 같이. ㄱ은 "유아의 사실 이해 및 기억 회상을 의도한 발문이다. 그렇다면 ㄷ은 이와 반대 되는 의도를 가진 발문일테고, ㄷ에서 교사가 말한 "땅 속에 어떤 보물이 숨겨져 있었을까?"는 어떤 의도인지 (나)에서 발문 이전의 활동을 살펴보면 땅 속 보물을 찾으러 땅 속 동물들이 사는 집을 방문 했는데, 쭉쭉쭉쭉 갔다가, 뱀을 보고 놀란 아이가 다시 지나 갔던 길을 되집어 돌아온다. 그리고는 잠이 든다. 결국 땅 속에 보물이 무엇인지는 찾지 못했다. 그런 상황에서 교사는 유아들에게 "땅 속에 어떤 보물이 숨겨져 있었을까?" 라고 유아들이 상상을 해야만 ..
우선 굿맨과 굿맨을 모른다 할 지라도 언어학습방법에는 1. 발음중심 언어학습방법 2. 언어경험 언어학습방법 3. 총체적 언어학습방법 4. 균형적 언어학습방법 이 있는데, (다)를 살펴보면 교사는 처음에 제목을 읽어보게 하고 (읽기) 미리와 은호는 그림과 글자를 보며 말하기를 하고 (말하기) 다시 교사는 동화책을 읽어주어 유아들이 듣게 하고 (듣기) 동화가 끝난 후 다음이야기 지어보기를 통해 쓰게 했다. (쓰기) 그러므로 "언어학습방법"측면에서 보자면 (다)는 "총체적 언어학습방법"이 되겠다. 실제로 굿맨과 굿맨을 몰랐어도, 제시하고 있는 것이 발음중심인지, 언어경험인지, 균형적인지, 총체적인지 구분을 했다면 충분히 유추 가능했을 것이다. (결국 나의 이해가 부족했다는 이야기..ㅠ) 굿맨과 굿맨(K. 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