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누리과정해설서
- 가평맛집
- 유치원임용기출
- 유치원교육과정
- 유아언어교육
- 육아맘공부법
- 유치원임용고시
- 유치원임용준비
- 가평현리맛집
- 유아임용준비
- 유아임용
- 양지인
- 2019개정누리과정
- 가평현리
- 2022유아임용
- 일병행임고생
- 2022유치원임용
- 류민영교수님
- 유아임용기출정리
- 가평가볼만한곳
- 공스타그램
- 일병행공부법
- 유아임용공부계획
- 매일공부계획
- 유아임용기출
- 육아맘임고생
- 2022유아임용준비
- 2022유치원임용준비
- 임용고시자료
- 현리맛집
- Today
- Total
목록유치원누리과정 (3)
학문/유아교육 일상/세남매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ClaE/btrDLVUtlMc/KszhNcfcGbLgUXe1mMrIRk/img.jpg)
Thank you for visiting my blog. I am Rosaria, a sunny person(양지인). Now I am studying by raising children for a better kindergarten teacher. The 2019 revision of Nuri curriculum is a kindergarten curriculum in Republic of Korea(ROK) Kindergarten teachers in South Korea study the revised Nuri program. I study steadily every day to become a competent teacher who can help infants develop their whol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xhO2/btrDMVz13Le/nH62LqPzQOfygmO3ucsglk/img.jpg)
[본문] 이 후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5세 유아의 학비*보육료 지원을 전 계층으로 확대하고, 지원단가를 연차적으로 현실화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여 관련법령을 정비하였다.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는 2011년 9월 [5세 누리과정]을 '공통과정'으로 제정하여 고시하고 2012년 3월부터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5세 모든 유아에게 공통으로 시행하였다. 유아교육법[시행 2021.9.9] 제2조(정의) 1. "유아"란 만 3세부터 초등학교 취학전까지의 어린이를 말한다. 2. "유치원"이란 유아의 교육을 위하여 이 법에 따라 설립*운영하는 학교를 말한다. 3. "보호자"란 친권과*후견인 그 밖의 자로서 유아를 사실상 보호하는 자를 말한다. 4. 삭제 5. 삭제 6. "방과후 과정"이란 제13조제1항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6A7CO/btrDHdIFrSz/DXBuEB8wsogWN5m1uZ2GY0/img.jpg)
[본문] ■ 공통과정으로서 [5세 누리과정] 제정 2011년 5월 유아교육*보육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5세의 유아교육과 보육 내용을 통합하여 일원화한 공통과정이 고시되었다. 교육의 평등 1/ 기회의 평등 _허용과 보장 2/ 과정의 평등 _교육과정의 평등 3/ 결과의 평등 "의도성"을 기준으로 한 교육과정 유형분류 1/ 표면적 교육과정 : 공식적인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학습이 일어나기 이전에 교육목표를 효율적으로 성취시키기 위해 수행되어야 할 제반활동과 요소를 조성하는 사전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이다. 학교에서 공식적으로 가르치는 교과서를 비롯한 교수학습자료,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문서, 시도교육청의 교육과정지침, 지역교육청의 장학자료, 학교의 교육방침등이 이에 속한다. 즉 교수를 위한 계획으로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