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공스타그램
- 유치원교육과정
- 유아언어교육
- 2022유치원임용준비
- 일병행공부법
- 류민영교수님
- 가평맛집
- 육아맘임고생
- 유치원임용준비
- 2019개정누리과정
- 2022유치원임용
- 가평현리
- 유치원임용고시
- 유아임용기출정리
- 육아맘공부법
- 매일공부계획
- 양지인
- 가평가볼만한곳
- 가평현리맛집
- 유아임용
- 유아임용공부계획
- 임용고시자료
- 유치원임용기출
- 유아임용준비
- 2022유아임용
- 일병행임고생
- 현리맛집
- 2022유아임용준비
- 유아임용기출
- 누리과정해설서
- Today
- Total
학문/유아교육 일상/세남매집
[유아임용준비]2021유치원교육과정A-7 2) 기출문제정리 본문
ㄱ은 교사가 유아들에게 "아기 토끼가 어디에 숨었다고 했지?" 라고 물어 보고 있고,
답은 이미 교사가 읽어 준 동시 안에 있었다.
즉. 문제에 쓰여진 바와 같이.
ㄱ은 "유아의 사실 이해 및 기억 회상을 의도한 발문이다.
그렇다면 ㄷ은 이와 반대 되는 의도를 가진 발문일테고,
ㄷ에서 교사가 말한 "땅 속에 어떤 보물이 숨겨져 있었을까?"는
어떤 의도인지 (나)에서 발문 이전의 활동을 살펴보면
땅 속 보물을 찾으러
땅 속 동물들이 사는 집을 방문 했는데,
쭉쭉쭉쭉 갔다가, 뱀을 보고 놀란 아이가
다시 지나 갔던 길을 되집어 돌아온다.
그리고는 잠이 든다.
결국 땅 속에 보물이 무엇인지는 찾지 못했다.
그런 상황에서 교사는 유아들에게
"땅 속에 어떤 보물이 숨겨져 있었을까?"
라고 유아들이 상상을 해야만 대답 할 수 있는 질문을 한다.
1항의 질문이 물어보는 발문의 유형에는
폐쇄적 발문과 확산적 발문이 있다.
폐쇄적 발문은 ㄱ처럼 이미 답이 정해져 있는 경우이다.
유아의 사실 이해 및 기억 회상의 의도한 발문이 대표적인 폐쇠적 발문이다.
ㄷ 처럼 유아마다 답이 다를 수 있는 발문의 유형은
바로 확산적 발문이다.
이것은 답이 여러개가 될 수 있으며,
틀린 것은 없다고 볼 수 있다.
유아의 모든 대답을 수용할 수 있으며,
유아들 또한 자기 자신의 답 만이 답이 아님을 알면서
"창의적 사고 증진"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유아의 창의적 사고 증진을 의도한 발문이 확산적 발문의 한 예라고 볼 수 있으며
이것을 답으로 작성 할 수 있을 것이다.
2항의 문제를 살펴보자.
ㄴ은 "네 글자씩 띄어서 읽을 수 있고, 질문하고 답하는 구조가 반복"이
우선 문제의 중심이다.
이것을 통해 드러나는 "시의 음악적 요소"를 쓰라고 하였는데.
우선 동시가 가지는 "동시의 요소"에는
운율(리듬)과 비유, 이미지 이렇게 세가지가 있다.
이 중 "음악적 요소"와 겹치는 것은 "운율(리듬)" 이므로
답은 "운율(리듬)"이 되겠다.
시가 산문과 다른 중요한 요소는 바로 운율(리듬)이다.
운율(리듬)을 만들어 내는 방법 중 하나로 정형률(외형률)이 있는데,
글자수를 3*4조, 4*4조, 7*5조 처럼 일정하게 하는 방법이 있고,
시작하는 음절이나 끝나는 음절을 동일하게 맞추면서
운율(리듬)을 살리는 방법도 있고,
민요처럼 시에도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운율(리듬)을
만드는 방법도 있다.
'양T의 (공립)유아교사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임용준비]2021유치원교육과정A-8 1) 기출문제정리 (0) | 2022.06.18 |
---|---|
[유아임용준비]2021유치원교육과정A-7 3) 기출문제정리 (0) | 2022.06.17 |
[유아임용준비]2021유치원교육과정A-7 1) 기출문제정리 (0) | 2022.06.15 |
[유아임용준비]2021유치원교육과정A-6 3) 기출문제정리 (0) | 2022.06.14 |
[유아임용준비]2021유치원교육과정A-6 2) 기출문제정리 (0) | 2022.06.13 |